본문 바로가기
2020년까지/일상

나는 어떤분야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나?

2018. 5.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거인의 어깨 너머' 입니다.

 오늘은 전문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하는데요, 오늘 이 이야기를 하게된 것은 다른 유튜브 영상을 보던 중 전문성이라는 이야기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제가 본 영상은 '김수영TV, 100억 부자가 알려주는 부자 되는 비법'이라는 영상인데요, 본인의 일을 통해 종잣돈을 모으고 그 일에서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온 것이 계기가 되었습니다.

 사실 저의 전문성에 대해 잠깐 고민을 해보았지만 부끄럽게도 저에게는 전문성이란 것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자공학과를 나왔지만 전자기기를 만들수 있는 것도 아니고 대기업에 다녔지만 거기서 배운 업무라는 것이 누군가에겐 어려운 일처럼 보일지 몰라도 사실상 크게 전문성을 가지기는 어려운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제품에 대한 지식을 베이스로 한 프로그래밍이 제가 하던 업무 이지만 제품에 대한 지식도 업무에 필요한 딱 그만큼의 지식이 전부였으며, 프로그래밍 또한 간단한 정도의 얕은 수준이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회사에서 배운게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 지식만으로 사회에서 직접 가치를 만들만큼의 전문성은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저에게는 전문성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저의 삶은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요? 대기업이란 커다란 그늘 아래 명함 하나만으로 많은 것이 표현되던 저와는 판이하게 다른 지금의 저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그런 고민 끝에 앞으로는 유튜브를 통하여 제 전문성을 하나씩 만들어 나가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에 닿았습니다. 전문성과 유튜브가 도대체 무슨 연관성을 가진 것일지 의아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대요, 그런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학창시절 우리가 공부를 하던 때를 기억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부를 잘하는 친구는 문제를 잘 풀고, 시험을 잘 치고 점수를 높게 받는 학생입니다. 이는 모두가 동의하는 당연한 이야기 일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공부를 잘하는 많은 친구들 중 가장 공부를 잘하던 친구는 바로 어려운 내용도 쉽게 설명해주고 알려주는 '잘 가르쳐 주는' 학생이었던 것을 우리는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공부를 잘 하기 위해선 문제를 잘 풀고 점수가 높게 나오는 것도 있지만 정말 완벽하게 내용을 학습한 학생은 내용을 잘 풀어 설명해 주는 학생이었습니다. 저는 이 잘 가르쳐 주는 학생이 공부에 있어서 전문성을 가진 학생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경제면 경제, 주식이면 주식, 책이면 책, 육아면 육아 어떠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가진 사람은 잘 가르쳐 줄 수 있는 사람이고, 이는 유튜브 영상을 통해 발전 시켜 나갈 수 있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전문성을 가진 사람은 잘 가르쳐 줄 수 있는 사람이고, 이 전문성을 가진 잘 가르쳐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저는 제가 아는 작은것들 부터 영상을 통해 풀어나가 볼까 합니다. 성장하는 제 모습을 지켜봐주셨으면 합니다. 또한 함께 성장하는 우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